본문 바로가기

국내 인터뷰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김성식 센터장님 인터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김성식 센터장님 인터뷰 2020. 02. 18 Q. 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어떤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나요? 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건설,토목,건축' 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먼저 '건축과 건설'은 시민과 엔지니어링의 결합체로, 시민에게 필요한 모든 건축물을 만드는 것이다. '토목'의 경우 시설물에 초점을 두어 도로,터널, 지하공간, 교량, 상하수도를 만드는 것이다. 즉, 건기연에서는 스마트시티 사회 속 사람들에게 필요한 인프라와 건축물을 만드는 곳이다. Q.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기준이 따로 있나요? 따로 정답은 없다. 하지만 도시를 평가하는 가장 좋은 기준은 도시가 지향하는 바가 있고 그에 도달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도시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
솔라시도 스마트시티 허정화 상무님 인터뷰 솔라시도 스마트시티 허정화 상무님 인터뷰 2020. 02. 14 [시민 참여] Q. 국가에서 스마트 시티 시민의 참여에 대한 인식은 어떤지,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젝트 및 서비스 개발 관련해 노력을 하고 있는지 A: 한국의 경우 전반적으로시민들이 부지런하게 참여하는 경우가 드물다. 도시 문화 자체가 커뮤니티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문화적으로 전환하는 챌린지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과거에 비해 ‘시민 참여' 및 ‘시민' 에 대한 강조는 늘고 있다. 단순히 니즈 파악이 아니라, 특정 서비스에 대해 실제 사용자를 계산, 아이템 자체에도 사용성 평가 및 활동들을 디벨롭 하는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시티에 있어 시민 참여는 문화적 전환이 ..
LH토지주택연구원 스마트도시연구 조영태 센터장님 인터뷰 LH토지주택연구원 스마트도시연구 조영태 센터장님 인터뷰 2020. 01. 09 [스마트 시티 정의] Q. 스마트 시티에 대해 한국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나요? A: ‘효율적인 방식을 도입해서 도시 속 문제를 해결하는 것' , ‘IT를 활용하는 관리 기법', ‘도시에서 IT 기술을 활용해서 효율적인 관리를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그 외에도 ‘축적된 도시 데이터를 상황에 맞게 과학적으로 이용하는 것', ‘도시발전과 경제 발전의 보완 수단이 되는 것으로 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스마트 시티가 수익 창출로도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 및 새로운 산업에 대한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방법' 으로 봅니다. [한국 도시 게획의 발전] Q. 스마트 시티가 지금의 현황까지 오기 전의 역사에 대해서 알고 싶습..
국토교통부 배성호 과장님 인터뷰 배성호 도시경제과장님께서는 스마트시티 주무부처인 국토부에서 관련사업을 주도하시고 계셨고, 개인적인 연락을 통해 일정을 잡을 수 있었다. 팀 S.C.T의 프로젝트 방향성 확립 및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해 개략적으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고, 프로젝트 내용 중 관련 기관 컨택을 도와주셨다. [인터뷰 전문] Q. 송도 신도시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스마트시티라고 할 수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송도 신도시의 문제는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번째는 민간이 관리하고 있다는 점, 두번째는 명확한 사업모델이 없다는 점, 세번째는 비용지불의 주체가 불명확하여 민간 서비스가 셧다운 되고 공공 서비스는 정부로 넘겨졌다는 점, 총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자세한 송도의 이야기는 허정화 상무님과 미팅을..